델파이(Delphi) 기법을 들어봤는가? 전문가들이 모여서 집중해서 답을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회의기법이다. 사실 말이 기법이지 그냥 의사결정을 위한 회의다. 그런데, 델파이 기법을 약간 변형해서 진화시키면, 꽤 쓸만한 정량화 도구가 된다. 이름하여 와이드밴드 델파이(Wide-band Delphi) 기법이다. 여기서는 SW개발 프로젝트를 착수하기 전에, 이 프로젝트가 과연 어느정도의 일정이 소요될 것인가를 예측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사례를 가지고 설명한다. <정의> Delphi 프로세스에 기반해서, 반복적 전문가 평가를 통해 프로젝트 규모를 추정하는 기법이다. Rand Co.에서 창안되고, 1981년에 Boehm에 의해 정제된 후, 1990년에 Watt Humphrey에 의해 다시한번 정제된 규모 추정 기법이다. (Watt Humphrey 할아버지를 들어봤는가? 카네기 멜론에서 그 유명한 CMM을 제창하신 분이다. ^^) <목적>
<참여자> 와이드밴드 델파이에서는 크게 두가지 유형의 역할이 필요하다.
<진행 프로세스>
< Figure 1 >
![]() <Estimation Writing Form> 4번 Individual Estim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템플릿으로, 개인별로 의사결정이 필요한 부분을 채워넣게 구성한다. Figure 2.의 사례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 Figure 2 >
![]() 이 템플릿은 평가자들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반복 평가가 이루어질 때마다 재사용 되도록 디자인되어있다. 처음에는 Initial Estimation란에 입력하며, 반복(iteration)이 진행될때 마다 우측의란에 반복해서 평가예측치를 기록한다. iteration에서 자신의 평가수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제일 하단에 왜 심적 변화가 일어났는가의 사유를 기록하도록 한다. <Estimation Tabulating Form> 5번 Tabulating 단계에서 사용되는 템플릿으로, 조정자가 각 평가자의 결과를 취합하여 통합시키는 양식이다. 이 템플릿에는 모든 평가자의 평가결과가 기록되는데,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자는 익명으로 표시된다. Figure 3.의 사례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 Figure 3 >
![]() Interaion이 반복된에 따라 이 템플릿은 아래에서 위로 히스토리 정보가 계속 쌓여간다. <종료조건> 아래와 같은 조건이 만족하면 Iteration을 중지하고 결론을 맺는다.
<최종 Estimation 도출> 종료조건이 만족했다면, 정량화된 최종 Estimation값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전문가가 평가한 Estimation값은 아직도 약간씩의 편차가 있을 것이므로 이를 하나로 귀결시키는 방법이 필요한다. 평균값이나 중앙값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3점법이다. 이것은 (MAX + 4*AVG + MIN) / 6 의 계산식을 이용해서 단일 Estimation을 결정하는 것으로, 프로젝트관리에서 종종 사용된다. 개인적으로는 3점법을 선호하며, 이것을 모 기업에서 와이드밴드 델파이를 적용할 때 실제로 이용하는 사례도 본 적이 있다. <특징> 와이드밴드 델파이 기법의 특징 및 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Ground Rules> 와이드밴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하는 사항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잘 읽어보고 사용에 있어서 반드시 유의하기 바란다.
<결언> 와이드밴드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이 축적한 지식을 활용하여 정성적인 상태를 정량화된 정보로 도출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특히,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비용이나 일정을 예측(Forecasting)하고 추정치(Estimation)을 산정하는데 아주 강력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모호한 상태를 정량화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꼭 한번 사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요긴한 툴이라고 생각한다. |
'Marketing Box > Strategy Technical T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I(Return On Investment) 분석 #02: TCO 정보취합 (0) | 2009.02.07 |
---|---|
ROI(Return On Investment) 분석 #01 : 순유형효과(Net Tangible Benefits) (0) | 2009.02.07 |
정보의 진화단계 (데이터->정보->지식->지혜) (0) | 2009.02.07 |
엑셀(MS Excel)을 이용한 AHP 활용 (1) | 2009.02.07 |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0) | 2009.02.07 |